본문 바로가기
식품 정보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문제점, 역슈링크 제품, 가성비 제품

by 리아푸드 2023. 11. 22.
반응형

최근 '슈링크플레이션'이라는 새로운 경제 용어가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우리 생활에 가장 밀접한 식품과 관련이 있는 용어인데요, 이 용어의 정확한 뜻과 어떤 점이 문제가 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이란?

영국 경제학자 피파 맘그렌이 2015년 만든 용어로 '슈링크(shrink/줄어들다)'와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 상승)'이 합쳐진 용어입니다. 유사한 용어로 '패키지 다운사이징(package downsizing)'이 있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 사례

최근 이런 슈링크플레이션이 적용된 제품이 등장하면서 한국소비자원에서 운영하는 가격정보종합포털사이트 참가격에서 관리하는 가공식품 209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년(2022년 12월 ~ 2023년 11월) 사이 3개 품목 19개 상품의 용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표적인 브랜드 및 상품으로는 바프(HBAF)의 허니버터아몬드 등 견과류 16개 제품,  CJ제일제당의 백설그릴비엔나(2개 묶음 상품), 서울우유협동조합의 체다치즈 20매 상품과 15매 상품 등의 용량이 적게는 7.7%에서 많게는 12.5%까지 줄였다고 합니다. 이 중 바프는 용량 변경 사실을 자사몰에 고지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여러 언론 보도를 통해 언급된 제품에 대해서도 조사한 결과 통원에프엔비의 양반 참기름김/들기름김, 해태 고향만두, 오비맥주의 카스 캔맥주(8캔 묶음), CJ제일제당의 숯불향 바베큐바, 풀무원의 올바른 핫도그 등의 용량이 1.3%에서 20.0%까지 줄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슈링크플레이션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1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유명한 '오레오 쿠키'도 슈링크플레이션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맥도날드 햄버거도 손가락 두 개로 잡을 수 있을 만큼 작아졌다는 의혹이 SNS를 통해 제기되었습니다. 물론 오레오 제조사인 몬델리즈와 맥도날드 모두 이러한 의혹을 부인하고 있는 중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이 나타났을 때의 문제점

슈링크플레이션은 기업이 제품의 판매가를 인상했을 때의 소비자의 저항을 낮추면서도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의 비용 상승애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크기나 중량을 줄이거나 품질이 낮추는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비용을 전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슈링크플레이션이 반영된 제품을 구매했을 때 소비자 입장에서 제품 가격은 그대로이지만 실제로 받는 양이나 품질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구매력이 감소했기 때문에 같은 가격으로 동일한 품질을 기대한 소비자로서는 제품의 가치를 그만큼 느낄 수 없고, 실제로는 비용을 추가하여 구매해야 하는 등 물가 상승을 체감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역(逆)슈링크 제품은 없을까?

최근 이마트24에서는 자사 PB 상품 중 '아임e 진지한 풍미, 빠다팝콘'의 중량을 90g에서 112g로 24% 늘린 제품을 출시하기도 하고 롯데웰푸드 '꼬칼콘' 2종도 64g에서 83g으로 24% 늘린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이런 제품은 기존에 비해 가격은 동일하지만 양이 많아져 소비자에게 호감을 느끼고 실제 매출 상승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CU에서는 2000원대 샐러드를 출시했으며, 세븐일레븐에서도 삼각김밥과 아메리카노 커피를 묶어 2700원에 판매하기도 합니다. 아침이나 점심 식사 대용으로도 가성비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소비만족도를 위한 가성비 제품들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를 위해 음식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평소 생활에서는 가성비 있는 제품을 찾기 마련입니다. 식료품 물가 지수는 계속 오르고 있고, '가성비', '가심비'에 이어 '먹성비'라는 단어까지 나올 정도로 소비 만족도가 중요해졌는데요.

 

각 유통사마다 진행하는 세일 기간에 구매를 한다거나 이른바 '핫딜' 등을 통해서 저렴하게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최근 진행한 쓱데이나 코리안 세일 페스타 등을 통해 저렴하게 사신 분들의 소비 만족도가 높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물가 상승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여러 기업의 꼼수 인상이 더 많아지지 않도록 정부에서도 소비자들도 지켜보고 이를 시정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겠습니다.

 

 

반응형